한자 문화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자 문화권은 고대 중국 문화의 영향으로 형성되었으며, 한국, 일본, 베트남 등이 이에 속한다. 이들 국가는 한자를 매개로 교류하며 고유 문화를 발전시켰다. 갑오개혁 이후 한국에서는 한글 사용이 증가했고, 베트남은 로마자를 기반으로 한 꾸옥응으를 도입했다. 동아시아는 산업혁명 기간 동안 근대화되었고, 일본은 경제 대국으로 부상했다. 현대에는 한국, 중국, 일본 등에서 한자 사용 방식에 차이가 있으며, 국제 한자 회의를 통해 표준화를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유교, 불교, 도교가 동아시아 문화권의 주요 사상이며, 한자를 기반으로 한 문자 체계와 다양한 예술, 요리, 전통 문화를 공유한다. 또한, 한일, 한중, 한베 관계 등 각국 간의 복잡한 국제 관계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자 문화권 - 일본
일본은 동아시아의 섬나라로, 약 3만 8천 년의 역사를 거쳐 입헌군주제 국가로 발전했으며, 과학 기술과 문화를 발전시키고 주변국과 관계를 맺고 있다.
한자 문화권 | |
---|---|
지도 정보 | |
![]() | |
명칭 및 표기 | |
한국어 | 동아 문화권, 한자 문화권 |
한자 (정체자) | 東亞文化圈, 漢字文化圈 |
한자 (간체자) | 东亚文化圈, 汉字文化圈 |
중국어 (병음) | Dōngyà wénhuà quān, Hànzì wénhuà quān |
중국어 (주음 부호) | ㄉㄨㄥ ㄧㄚˋ ㄨㄣˊ ㄏㄨㄚˋ ㄑㄩㄢ, ㄏㄢˋ ㄗˋ ㄨㄣˊ ㄏㄨㄚˋ ㄑㄩㄢ |
광둥어 (예일) | Dung1aa3 man4faa3hyun1, Hon3zi6 man4faa3hyun1 |
오어 (상하이) | ton-ia ven-ho-chioe, hoe-zr ven-ho-chioe |
민난어 (백화자) | Tang-a bûn-hòa-khoan, Hàn-jī bûn-hòa-khoan |
대만어 (대만어 로마자 표기법) | Tang-a bûn-huà-khua, Hàn-jī bûn-huà-khuan |
푸저우어 (평화자) | Dĕ̤ng Ā ùng-huá-kuŏng, Háng-cê ùng-huá-kuŏng |
객가어 (페닌화) | Tûng-â vùn-fa-khiên, Hon-sṳ vùn-fa-khiên |
일본어 (가나) | とうあぶんかけん, かんじぶんかけん |
일본어 (로마자) | Tō-a bunkaken, kanji bunkaken |
일본어 (훈령식 로마자) | Tou-A Bunkaken, Kanzi Bunkaken |
한국어 (한자) | 東亞文化圈, 漢字文化圈 |
한국어 (로마자) | Dong-a Munhwagwon, Hanja Munhwagwon |
한국어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 Tong'a Munhwakwŏn, Hancha Munhwakwŏn |
베트남어 | Vùng văn hóa Á Đông, Vùng văn hóa Đông Á, Vùng văn hóa chữ Hán, Hán tự văn hóa quyển |
쯔놈 | 塳文化亞東, 塳文化東亞, 塳文化𡨸漢 |
중국어 (국제 음성 기호) | , |
광둥어 (국제 음성 기호) | , |
광둥어 (월병) | Dūng'a màhnfahyūn, Honjih màhnfahyūn |
민난어 (대만어 병음) | Dong-yà wún-huà cyuan, Hàn-zìh wún-huà cyuan |
민난어 (교회 로마자) | Tung1-ya4 wen2-hua4 chʻüan1, Han4-tzu4 wen2-hua4 chʻüan1 |
개요 | |
정의 | 중국 문화의 역사적 영향을 받은 지역들의 집합 |
주요 특징 | 한자 사용 유교 문화 율령제 등 |
언어적 특징 | 고전 중국어 (한문)가 동아시아의 공통적인 문어 역할을 함 |
문화적 영향 | 불교 도교 한의학 차 문화 젓가락 |
역사적 관계 | |
조공 관계 | 베트남과 한국은 역사적으로 중국의 조공국이었음. 일본은 무로마치 시대에 조공 관계를 맺음. |
문화적 전파 | 중국 문화가 동아시아 지역에 전파되고 변형되어 지역 문화가 형성됨 |
언어의 현지화 | 한자가 현지 언어에 맞게 적용되어 일본어, 한국어, 베트남어에 사용됨 |
문학 | 고전 중국어로 쓰인 문학 작품들이 일본, 한국, 베트남 문화에 중요한 유산으로 남아있음. |
영향 범위 (일반적) | |
핵심 국가 | 중국 대한민국 일본 베트남 |
영향 범위 (확장된 개념) | |
추가 국가 |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일부 몽골 일부 |
2. 역사
한자 문화권은 중국과 중국 황제로부터 책봉을 받은 주변 여러 민족이 한문(특히 중국 고전 한어)을 매개로 중국 왕조의 국가 제도와 정치 사상, 문화, 가치관을 받아들여 발전시키고, 이를 중국 왕조와 느슨하게 공유하면서 정치적으로는 자주성을 확보한 지역을 가리킨다. 일본의 역사학자 니시지마 사다오가 제창한 “동아시아 세계론(책봉 체제론)”을 계기로 자리 잡았으며, 역사학에서 “문화권” 개념 형성의 모델 중 하나가 되었다. 그러나 명확하게 책봉 체제에 편입되었다고 말할 수 없는 나라도 한자 문화권에 포함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현재의 지역 구분으로 보면 “동아시아”와 겹치는 부분이 크며, 중국 대륙, 타이완, 베트남, 조선반도, 일본 열도, 류큐 열도 등이 대표적이다. 일본의 경우, 야마타이코쿠의 히미코가 239년 친위왜왕으로 책봉되었고, 『후한서』에 왜왕 수이승 등이 후한 안제에게 생구 160명을 바쳤다는 기록이 있다. 그러나 국가 통일 이후인 607년 성덕태자가 수 양제에게 대등함을 표명하기 위해 “해 뜨는 곳의 천자” 등의 문서를 보냈고, 당 왕조에는 책봉 없이 조공사(견당사)를 파견, 조공 무역을 했다. 남조 고다이고 천황의 황자 카이랴 신노는 명 홍무제에게 “일본 국왕 요가이”로, 무로마치 막부 3대 쇼군 아시카가 요시미츠는 “일본 국왕 원도의”로 책봉되었다.
한족 국가 이외에서 현재까지 한자를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국가는 일본뿐이다. 베트남은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해 의무 교육에서 한자 교육을 폐지했다. 북한은 한자를 폐지하고 한문 교육만 실시한다. 한국은 독립과 함께 한글 전용법이 제정되어 한자는 괄호 안에 쓰인다. 한자 교육은 1970년대 이후 필수 과목에서 사라져 한자를 모르는 세대가 늘고 있다.
영국의 역사가 아놀드 토인비는 저서 『역사의 연구』에서 일본과 한국을 황하 유역에서 시작된 "중국 문명"에서 발전한 "극동 문명"으로 분류했다.[25] 토인비는 중국 문명과 극동 문명의 관계를 헬레니즘 문명과 서양 문명의 "겉보기 유사성-연관성"과 비교했다.[26]
미국의 한문학자이자 역사가인 에드윈 레이쇼어는 중국, 일본, 한국, 베트남을 공통된 유교 윤리 철학을 공유하는 "중국 세계"라는 문화권으로 묶었다. 그는 이 문화가 중국 북부에서 시작되었고, 중국 북부와 동아시아의 관계를 그레코-로만 세계와 유럽의 관계와 비교했다. 동아시아 엘리트들은 한자를 기반으로 한 공통된 문자를 통해 서로 연결되었는데, 이는 라틴어가 유럽에서 수행한 역할과 유사하다.[50]
미국의 정치학자 샘 헌팅턴은 저서 『문명의 충돌』에서 중국 세계를 여러 문명 중 하나로 간주하며, 기원전 1500년, 어쩌면 그보다 1000년 전부터 존재해 온 독립된 중국 문명 또는 기독교 초기 시대에 서로를 계승한 두 개의 중국 문명이 있다고 언급했다.[27] 헌팅턴의 중국 문명에는 중국, 북한, 한국, 베트남, 동남아시아의 중국계 공동체가 포함된다.[28] 헌팅턴이 논의한 많은 문명 중 중국 세계는 종교가 아닌 문화적 정체성을 기반으로 한 유일한 문명이다.[29] 헌팅턴은 냉전 이후 세계에서 인류는 "[문화 집단, 즉 부족, 민족 집단, 종교 공동체, 그리고 가장 광범위한 수준에서는 문명과] 동일시한다"고 주장했다.[30][31] 그러나 일본은 별개 문명으로 간주했다.[32]
2. 1. 고대
일본의 역사학자 니시지마 사다오는 '동아시아 세계론'에서 책봉을 중심으로 한 중국과 주변 세력 간의 관계를 통해 유교, 율령, 불교, 한자 문화가 전파되었다고 보았다.[136] 그의 설명에 따르면, 한자문화권은 중국 왕조의 국가 체계, 정치 사상, 문화, 가치관 등을 받아들여 발전시키면서 중국 왕조와 긴밀하거나 느슨한 관계를 유지해온 지역을 가리킨다.[137] 한국, 일본, 베트남 등은 중국 왕조의 문화를 수용하면서도 자국의 고유한 문화를 발전시켰다.조선 통신사와 같이, 각국은 한자를 매개로 교류하며 서로 영향을 주고받았다. 예를 들어, 에도 시대 일본에서는 쇼군이 바뀔 때마다 조선에서 조선 통신사가 파견되었는데, 통신사절과 말이 통하지 않았던 일본의 에도 유학자들은 한자 필담으로 조선 유학자와 유학 논쟁을 벌였다.[138] 아메노모리 호슈와 같이 조선어에 조예가 깊은 유학자도 있었으나 소수였다.
2. 2. 근대
갑오개혁 이후 한국에서는 국한문 혼용체가 사용되었고,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어 사용이 강요되기도 했다.[132] 박정희 정부는 한글 전용 정책을 추진하여 공문서에서 한자 사용이 사라졌다.[132] 일본은 서양 문물을 수용하면서 한자어를 만들어 사용했고, 이 단어들은 조선에서도 사용되었다.[132] 베트남은 쯔놈 문자 대신 로마자를 기반으로 한 꾸옥응으를 도입하여 문자 체계를 변화시켰다.[132]2. 3. 현대
대한민국에서는 한글이 주로 사용되지만, 학술 분야나 고문서 해독 등에서는 여전히 한자가 사용된다.[133][134][135]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한자 사용이 공식적으로 폐지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간체자를 사용하고 있으며, 중화민국(타이완)에서는 번체자를 사용하고 있다. 일본은 한자를 여전히 일상적으로 사용하며, 신자체(新字体일본어)를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1991년 대한민국 주도로 국제 한자 회의가 개최되어 한자 사용 표준화를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한자 교육 부활 움직임도 있다.3. 용어
'한자문화권'은 영어의 'Sinosphere'를 번역한 용어이다. 중국어, 일본어, 한국어에서는 '권(圈)'으로 표현된다.[23] 베트남어에서는 'vùng'(지역)을 사용하여 'Vùng văn hóa Á Đông'(동아시아 문화권)으로 번역된다.[23] 류큐어에서는 'yu'(세계, 영역)를 사용하여 '漢字一型ぬ世'(한자 일형의 세계)로 번역된다.[23] 빅터 메이어는 '문화권' 용어가 독일어 'Kulturkreis'(문화권, 영역)에서 유래했다고 설명했다.[23]
4. 문화
일본의 역사학자 니시지마 사다오는 '동아시아 세계론'에서 유교, 율령, 불교, 한자 등의 문화 요소가 중국 중심의 국제 정치 구조를 통해 전파되어 한자문화권의 공통 분모로 작용했다고 주장했다.[136] 한자문화권은 중국 왕조와 문화, 가치관을 공유하며 발전해 온 지역을 가리키며, 역사학에서 문화권 개념 형성 모델 중 하나가 되었다.[137]
현재 한자문화권은 동아시아 지역과 대부분 겹치며,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 베트남,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일본이 포함된다. 그러나 현재 한자를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국가는 일본뿐이다. 대한민국에서는 한글 표기법이 제정되고 한자는 필요에 따라 괄호 안에 부수적으로 표기하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한자 표기가 공식적으로 폐지되었다. 베트남은 쯔놈 표기를 거쳐 로마자를 사용한 꾸옥응으로 표기 체계가 바뀌었다.[138][139]
한자 문화권은 공통된 문화 요소를 공유하면서도 각국의 독특한 문화를 발전시켜왔다. 한문의 유입은 일본의 가나, 조선의 구결, 이두, 베트남의 쯔놈 등 한자 기반의 독자적인 문자 발달을 촉진했다. 종교적으로는 토착화된 불교, 도교 등이 민간에 보급되었고, 유교는 정치 사상으로서 권역 내 공유되는 사유의 틀을 제공했다. 젓가락 사용, 차 문화, 기와 사용 등 생활 문화에도 공통점이 나타난다.
4. 1. 예술


- '''건축''': 동아시아 문화권 국가들(일본, 한국, 베트남, 타이완, 홍콩)은 고대 중국 건축에서 유래한 공통된 건축 양식을 공유한다.[33]
- '''서예''': 해서는 중국과 동아시아 서예에서 사용되는 초서체의 서체이다.[34]
- '''영화''': 홍콩 영화, 타이완 영화, 중국 영화, 일본 영화, 한국 영화, 베트남 영화 참조
- '''만화''': 만화 (일본 만화), 만화 (중국 만화), 만화 (한국 만화), Truyện tranh (베트남 만화) 참조
- '''원예''': 소형 나무와 경관을 재배하는 예술. 분재 (일본), 펜징 (중국), 분재 (한국), Hòn non bộ (베트남)
- '''무술''': 쿵후 (중국 무술), 태권도 및 합기도 (한국 무술), 가라테, 합기도, 유도, 유술 및 스모 (일본 무술), 보비남 및 Nhất Nam (베트남 무술) 참조
- '''음악''': 얼후와 같은 중국 악기는 한국, 일본, 타이완, 홍콩 및 베트남의 악기에 영향을 미쳤다.
- '''의복''': 한복, 베트남 의복, 와후쿠는 모두 비단을 사용한다. 옥 장신구와 장식품 또한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 전역에서 높이 평가된다.
4. 2. 요리
젓가락은 동아시아 주요 국가들에서 모두 식사 도구로 사용된다.[35] 발효 콩으로 만드는 간장의 사용 또한 이 지역에 널리 퍼져 있다.[36]쌀은 동아시아 전역의 주식이며 식량 안보의 주요 초점이다.[37] 쌀이 없는 사람들은 종종 음식이 없는 것으로 여겨진다. 더욱이, 일본(御飯|gohan일본어), 한국(밥; ''bap''), 베트남(''cơm'')과 같은 동아시아 국가들에서는 "익힌 쌀"이라는 단어가 일반적으로 음식의 의미를 내포할 수 있다.[35]
동아시아 요리와 관련된 대중적인 용어로는 타피오카 펄, 김치, 스시, 샤브샤브, 차, 딤섬, 라멘, 퍼, 사시미, 우동, 짜조 등이 있다.[38]
4. 3. 전통
한복(한국), 치파오(중국), 아오자이(베트남), 기모노(일본)는 각국의 전통 의상을 대표한다. 사자춤은 중국, 일본, 한국, 베트남 등에서 행해지는 전통 무용이다. 설날은 동아시아 국가들이 공통으로 기념하는 명절이지만, 일본은 메이지 유신 이후 양력 설을 쇠고 있다.[39]4. 4. 문학
동아시아 문학 문화는 문장의 사용을 기반으로 하였으며, 이는 지역 전역에서 학문과 행정의 언어가 되었다. 베트남, 한국, 일본은 각각 자국어를 위한 문자 체계를 개발했지만, 이는 대중 문학에 국한되었다.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구어체 문자가 자리를 잡을 때까지 한자는 공식적인 글쓰기의 매체로 남아 있었다.[40]동아시아 전역에서 문장은 행정과 학문의 언어였다. 비록 구어 의사소통에 한자를 사용하지 않았지만, 각국은 이른바 한역 발음이라는 전통적인 텍스트 낭독 방식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는 중국어(중국어)(Middle Chinese) 발음에 대한 단서를 제공한다. 이러한 발음을 가진 한자어는 지역 방언에도 광범위하게 차용되었으며, 오늘날 그 어휘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40] 문장 사용과 대조적으로 구어 또는 표준 중국어를 포함한 중국어 방언도 발전했다.
문장으로 쓰인 책들은 널리 배포되었다. 7세기 또는 그 이전에 목판 인쇄가 중국에서 개발되었다. 처음에는 불경을 복사하는 데만 사용되었지만, 나중에는 세속적인 작품도 인쇄되었다. 13세기에는 한국의 정부 인쇄소에서 금속 활자가 사용되었지만, 중국, 베트남 또는 일본에서는 광범위하게 사용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동시에, 필사본 복제는 19세기 후반까지 중요한 역할을 했다.[40]
일본의 텍스트 연구는 중국 기원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일본을 현대 한학의 발상지 중 하나로 만들었다.[41]
사서오경은 유교의 권위 있는 책이며, 중국, 한국, 베트남의 과거 시험을 준비하는 데 사용되었다.
한문의 유입은 한자를 이용한 자국어의 문자화를 촉진했다. 일본의 가나, 조선의 구결, 이두, 베트남의 죽놈 등, 한자에서 파생된 독자적인 문자나 용법이 발달하여 각 국가의 고유성을 보증하는 서기 언어가 확립되었다.
5. 철학과 종교
유교, 불교, 도교는 동아시아 문화권의 주요 사상 및 종교이다. 이들은 동아시아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손자병법』, 『도덕경』, 『주역』, 『논어』와 같은 고전 문헌을 통해 그 영향을 확인할 수 있다.[42]
주자학은 당나라 한유에서 기원하여 송나라 주돈이에 이르러 도가의 형이상학을 윤리 철학의 틀로 사용하면서 발전하였다.[53][54] 일본 철학은 토착 신도 신앙과 불교, 유교 및 기타 중국 철학 학파가 융합되어 발전했고, 한국 철학에서는 무속 요소가 주자학에 통합되었다. 베트남에서는 도교, 불교와 함께 주자학이 베트남 고유의 ''Tam giáo''로 발전하여 베트남 민속 종교와 함께 베트남 철학 형성에 기여했다.
5. 1. 유교

중국, 일본, 한국, 베트남은 유교적 세계관을 공유한다.[50] 유교는 인본주의[51]적 철학으로, 인간은 개인적, 공동체적 노력, 특히 자기 수양과 자기 창조를 통해 교육 가능하고, 개선 가능하며, 완벽해질 수 있다고 믿는다. 유교는 덕의 함양과 윤리의 유지를 중시하며, 가장 기본적인 윤리에는 다음이 있다.[52]
- ''인'' (仁|rén중국어): 다른 개인에 대한 이타심과 인간성의 의무
- ''의'' (義/義|yì중국어): 정의의 수호와 선을 행하려는 도덕적 성향
- ''예'' (禮/禮|lǐ중국어): 일상생활에서 사람이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규범과 예의의 체계
5. 2. 불교

동아시아 불교는 대승불교 종파에서 유래하였거나 그 종파에 속하며, 도교와 유교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45] 동아시아 불교는 이타심과 자비심뿐만 아니라 업과 관련된 고통으로부터의 이해와 벗어남을 옹호한다.[46] 이 종파의 수도하는 불교도나 독실한 불교도, 또는 재가 불교도들은 모든 살아있는 유정(sentient beings)에 대한 자비로 인해 채식주의 또는 비건을 실천하기도 한다.[47][48][49]
5. 3. 도교
도교는 동아시아 문화권 국가들에 영향을 미쳤다. 도가 사상은 중국에서 노자의 가르침으로부터 형성되었다. 이는 '도(道)'를 추구하는 것으로, '도'는 길이나 방향과 동등한 개념이며 우주와 만물을 창조하는 우주적 힘을 나타낸다.[43]'도'의 지혜는 우주의 유일한 근원이며 모든 사람이 따라야 하는 삶의 자연스러운 길이다. 따라서 도교 신봉자들은 '도'(길을 의미하며 우주의 힘을 나타냄)를 추구한다.[43]
도교에서 가장 중요한 경전인 도덕경(기원전 300년경)은 '도'가 우주의 "근원"이며, 창조의 원리로 간주되지만 신으로는 간주되지 않는다고 선언한다. 자연은 더 높은 의도 없이 자발적으로 스스로를 드러내며, 인간은 "무위(無爲)"와 자연스러움(自然)을 통해 그 흐름과 리듬에 통합되어 행복과 장수를 얻는 것이 과제이다.[43]
도교는 다양한 출처의 가르침을 결합한 것으로, 철학적, 종교적 또는 윤리적 시스템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전통은 세계관과 삶의 방식으로도 제시될 수 있다.[43]
5. 4. 주자학
주자학은 당나라에 기원을 두고 있으며, 유학자 한유는 송나라 주자학자들의 선구자로 여겨진다.[53] 주돈이는 도가의 형이상학을 그의 윤리 철학의 틀로 사용하여 주자학의 최초의 진정한 "선구자"로 여겨진다.[54]일본 철학은 토착 신도 신앙이 불교, 유교 및 기타 중국 철학 학파와 융합되면서 발전하기 시작했다. 한국 철학에서는 무속의 요소가 중국에서 수입된 주자학에 통합되었다. 베트남에서는 도교와 불교와 함께 주자학이 베트남 고유의 ''Tam giáo''로 발전되었는데, 이는 베트남 민속 종교와 함께 베트남 철학을 형성하는 데 기여했다.
6. 언어
동아시아 문화권의 핵심 언어는 중국어, 일본어, 한국어, 베트남어와 그 변종들이다. 이 언어들은 역사적으로 한자를 사용해 왔으며, 일본어, 한국어, 베트남어는 어휘의 약 60%가 중국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70][71][72] 장족어와 묘어-야오어처럼 동아시아 주요 언어와 비슷한 소수의 언어도 있는데, 이 언어들은 자체 국가가 없거나 문화 수출이 많지 않아 종종 간과되지만, 장족어는 한자에서 영감을 받은 사운딥이라는 문자로 1,000년 이상 기록되어 왔다. 묘어는 근대 역사 이전까지는 문자가 없었던 것으로 추정되지만, 동아시아 주요 CJKV 언어와 유사한 비율의 중국어 차용어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73]
동아시아 국가들에서 한자를 공통적으로 사용했기 때문에, 중국인, 일본인, 한국인, 베트남인은 전통적으로 다른 사람들의 구어를 알지 못하더라도 문어 중국어를 사용하여 서면 의사소통을 할 수 있었는데, 이를 Brushtalk라고 한다.[74]
한족을 주요 민족으로 하는 국가 이외에서 현재까지 한자를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국가는 일본뿐이다. 베트남에서는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해 의무 교육에서 한자 교육을 완전히 폐지했다. 북한은 공식적으로 한자를 폐지하고 국민에게는 한문 교육만 실시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독립과 동시에 한글 전용법이 제정되어 한자는 괄호 쓰기로 처리되었다. 더욱이 한자 교육은 중요시되지 않고, 1970년대 이후 필수 과목에서 사라진 결과, 한자를 읽을 줄 모르는 세대가 증가하고 있다(자세한 내용은 조선에서의 한자 참조).
현대 일본어, 한국어, 베트남어의 경우 사전에 등재된 어휘의 약 6할이 한문에 기원을 둔 단어일 정도로, 한자 문화권에 현존하는 여러 나라의 표기 언어는 대부분 한문에서 발달하거나 한자어를 차용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어휘에 한자어가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구어에도 유입되어 통용되고 있다.[133][134][135]
6. 1. 문자 체계
한자는 동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사용하는 공통 문자였다. 중국은 간체자를 사용하고, 타이완, 홍콩, 마카오는 번체자를 사용한다. 일본은 한자와 함께 가나를 사용한다. 한국은 한글을 주로 사용하며, 학술 분야 등에서 한자를 사용한다. 베트남은 한문과 쯔놈을 사용하다가 프랑스 식민지 시대 이후 로마자 기반의 꾸옥응으를 사용하고 있다.[138][139]일본에서는 한자를 여전히 사용하지만, 가나를 발명하여 함께 사용한다. 한국에서는 한글이라는 고유한 문자 체계를 사용하지만, 학술 분야나 법률 분야 등에서는 한자를 사용하기도 한다. 베트남에서는 프랑스 식민지 시대 이후 꾸옥응으라는 로마자 기반 문자를 사용하지만, 역사적으로 한문과 쯔놈을 사용했었다.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문맹 퇴치를 위해 간체자를 사용하고 있다. 반면, 중화민국(타이완), 홍콩, 마카오에서는 번체자를 사용한다.
문자 체계 | 지역 |
---|---|
한자 및 그 변형 | 중국, 일본, 한국, 싱가포르, 베트남*, 대만 |
동바 문자 | 중국 (나시족 소수 민족) |
가나 | 일본 |
이족 문자 | 중국 (이족 소수 민족) |
보포모포 | 대만, 역사적으로 중국 본토 (현대한어사전에서만 사용) |
라틴 문자 | 베트남, 중국 (일부 소수 민족, 예: 묘족); 대만 (타이로 라틴 문자는 타이완어에 사용) |
한글 | 한국, 중국 (동북부 조선족) |
키릴 문자 | 몽골 (몽골 문자 복귀 움직임 있음)[77] |
몽골 문자 | 몽골*, 중국 (내몽골) |
주자놈 | 베트남*, 중국 (광서성 동흥시), 현재 긴족 사용 |
브라흐미 문자 | 싱가포르, 중국 (티베트, 시솽반나 다이족 자치주) |
폴라드 문자 | 중국 (흐몽족) |
위구르 아랍 문자 | 중국 (신장) |
*역사적으로 공식 사용, 현재 비공식 사용. |
7. 경제와 무역
아시아의 네 마리 용으로 불리는 홍콩, 대한민국, 싱가포르, 타이완은 급속한 경제 성장을 이루었다.[93] 특히 대한민국은 한국 전쟁 이후 한강의 기적으로 알려진 급속한 경제 성장을 경험했으며, 삼성, LG 등의 재벌들이 경제를 이끌었다.[94][95]
중국 경제 개혁 이후 중국은 세계 2위의 경제 대국으로 성장했다.[102] 일본은 잃어버린 10년 이후에도 세계 3위의 경제 규모를 유지하고 있다.[96] 베트남은 쇄신 (베트남) 개혁 이후 경제 성장을 이루고 있다.[99]
7. 1. 기업 문화
동아시아의 기업 문화는 불교, 유교, 도교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일본은 일반적으로 계층적으로 조직된 기업들이 많으며, 일본의 직장 환경에서는 대인 관계를 매우 중요하게 여긴다.[79] 일본 기업의 리더는 단순히 최고 의사 결정자라기보다는 사회적 조화를 유지하고 직원들을 통합하는 능력을 중시한다.[80][81]유교적 가치를 따르는 한국 기업은 경영진과 직원 간의 ‘효도’(孝順|효순중국어)에 따라 가부장적인 가족 체계를 중심으로 구축되어 있으며, 계층 내 자신의 위치를 알고 연장자와 상사에 대한 존중을 보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한국 직장에서는 다른 사람을 선배나 후배라고 부르는 것이 일반적이며, 회사 내 직책은 보통 연령을 반영하고, 후배는 선배의 말을 거의 즉시 따르는 경향이 있다.[82] 한국인들은 직원의 “기분”이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사회적 조화로운 환경을 유지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긴다.[74]
동아시아에서는 체면 유지가 사업 및 사회 관계의 일반적인 방식인 반면, 다른 사람을 공격적으로 비판하거나 다른 사람들 앞에서 공개적으로 비난하는 것은 사업 관계를 잃는 지름길이다.[81][83] 중국 기업 문화에서는 “꽌시”라는 사회적 개념을 사용하여 관계를 중시하는데, 이는 서로 간의 신뢰와 굳건한 관계를 의미하며, 호혜적인 관계와 상호 도덕적 의무를 포함할 수 있다.[84][85]
베트남 문화는 연령과 직급에 따라 계층적인 경향이 있으며, 베트남 사람들은 신뢰할 수 있는 사람들과 함께 일하는 것을 선호하며, 이는 동료와 친척 간에 유지되는 사업 관계로 확장된다. 여성은 (역사적으로 여장군이었던 과거를 고려할 때) 베트남 문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체면 유지가 매우 중요하다. 대인 관계 또한 매우 중요시된다. 분노나 격한 감정 표현은 신뢰를 떨어뜨릴 수 있으며, 베트남 사업가들은 말한 것을 사실로 받아들일 수 있다. 조화가 깨지면 베트남 사람들은 침묵을 통해 긴장을 완화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86][87]
중화권 전반적으로 겸손과 순응의 특성을 크게 강조하고 존중하는 공통적인 요소가 있다.[88][89][90][91]
7. 2. 현대 경제
아시아의 네 마리 용으로 불리는 홍콩, 대한민국, 싱가포르, 타이완은 급속한 경제 성장을 이루었다.[93] 특히 대한민국은 한국 전쟁 이후 한강의 기적으로 알려진 급속한 경제 성장을 경험했으며, 삼성, LG 등의 재벌들이 경제를 이끌었다.[94][95]중국 경제 개혁 이후 중국은 세계 2위의 경제 대국으로 성장했다.[102] 일본은 잃어버린 10년 이후에도 세계 3위의 경제 규모를 유지하고 있다.[96] 베트남은 쇄신 (베트남) 개혁 이후 경제 성장을 이루고 있다.[99]
8. 국제 관계
에드윈 레이쇼어는 중국, 일본, 한국, 베트남을 "중국 세계"라는 문화권으로 묶고, 이들이 공통된 유교 윤리 철학을 공유한다고 보았다. 그는 동아시아 엘리트들이 한자를 기반으로 한 공통 문자를 통해 연결되었다고 설명했다.[50] 샘 헌팅턴은 중국 세계를 여러 문명 중 하나로 간주하면서도, 종교가 아닌 문화적 정체성을 기반으로 한 유일한 문명이라고 언급했다.[29]
이들 국가 간의 상호 관계는 수백 년에서 수천 년에 걸친 역사에서 비롯되며, 한자의 확산, 정복, 무역, 문화 교류 등에서 시작되었다. 오랜 역사적 연관성이 있었지만, 역사적, 경제적, 정치적 차이에서 비롯된 상호 간의 인종차별이나 외국인 혐오는 주요 문제였다.
만주(중국 동북부)는 한국과 긴밀한 관계를 맺었으며,[128] 만주족은 한족과 함께 동화를 실천했다.[129]
8. 1. 한국과 주변국 관계
에드윈 레이쇼어는 중국, 일본, 한국, 베트남을 "중국 세계"라는 문화권으로 묶고, 이들이 공통된 유교 윤리 철학을 공유한다고 보았다. 그는 동아시아 엘리트들이 한자를 기반으로 한 공통 문자를 통해 연결되었다고 설명했다.[50] 샘 헌팅턴은 중국 세계를 여러 문명 중 하나로 간주하면서도, 종교가 아닌 문화적 정체성을 기반으로 한 유일한 문명이라고 언급했다.[29]이들 국가 간의 상호 관계는 수백 년에서 수천 년에 걸친 역사에서 비롯되며, 한자의 확산, 정복, 무역, 문화 교류 등에서 시작되었다. 오랜 역사적 연관성이 있었지만, 역사적, 경제적, 정치적 차이에서 비롯된 상호 간의 인종차별이나 외국인 혐오는 주요 문제였다.
만주 또는 중국 동북부는 한국과 긴밀한 관계를 맺었으며,[128] 만주족은 한족과 함께 동화를 실천했다.[129]
8. 1. 1. 한국-일본 관계
한국과 일본은 문화, 무역, 정치적 접촉 및 군사적 충돌 등 다양한 측면에서 폭넓은 관계를 맺고 있다. 한일 관계사는 15세기 이상 거슬러 올라가며, 역사 시대에 아시아 본토의 많은 사상이 한국을 통해 일본으로 유입되었다.[104] 지리적으로 가깝지만, 두 국가는 문화적으로 서로 다르며, 특히 일본 식민 지배의 맥락에서 관계가 험악해질 수 있는 상반되는 군사적 및 역사적 관점을 가질 수 있다.[105][106][107] 일본은 약 2천 년 동안 중국의 영향을 받아 왔으며 많은 문화적, 철학적 사상을 모방했고, 많은 일본인들이 중국 또는 한국을 통해 들어온 연구를 수행했다.[104] 문화, 무역, 군사적 충돌 또한 두 나라 사이의 주요 초점이었으며, 관계는 매우 험악해질 수 있다.[113]8. 1. 2. 한국-중국 관계
한중 관계는 고대부터 밀접한 관계를 맺어왔다. 한국과 중국은 수천 년의 역사를 공유하며, 중국에서 한국으로 많은 문화적 교류와 사상이 전파되었다. 기원전 109년 이후 한국의 일부 지역은 중국의 통치를 받기도 하였고, 여러 차례의 군사적 충돌도 있었다.[108] 한국과 중국 사이의 역사는 대부분 동북아시아에 집중되었으며, 일본으로 지식이 전달되는 데에도 영향을 주었다.[104]그러나 양국 관계는 항상 원만했던 것은 아니다. 사드 배치 문제, 동북공정 등 역사 왜곡 문제, 미세먼지 문제 등으로 갈등을 겪기도 한다. 더불어민주당은 중국과의 상호 존중과 호혜적 협력을 강조하며, 한반도 평화와 번영을 위한 건설적인 관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8. 1. 3. 한국-베트남 관계
한-베트남 관계는 베트남 전쟁 참전이라는 과거사 문제가 있지만,[116] 경제, 문화 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베트남과의 협력 관계를 강화하고, 과거사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는 입장이다.양국은 16세기부터 19세기까지 중국에서 사절단을 통해 반 공식적인 만남을 가졌다.[114][115] 지리적 거리에도 불구하고, 식민 통치와 역사적 또는 현재의 정치적 분열 등 많은 유사점을 공유한다.[115] 한국은 베트남 전쟁에 참전했다.[116] 양국 관계는 대체로 원만하지만, 한반도의 긴장으로 인해 다른 정치 세력을 자극하지 않고서는 주요 관계 형성이 어려운 상황이다.[117] 베트남은 북한-미국 정상회담을 위한 중립지로 활용되었다.[118][119]
8. 2. 기타 국가 간 관계
일본-중국, 일본-베트남, 중국-베트남 관계는 역사적, 경제적, 정치적 요인으로 인해 복잡한 양상을 보인다.- 일본-중국 관계: 일본은 약 2천 년 동안 중국의 영향을 받아왔으며, 많은 문화적, 철학적 사상을 모방했다.[104] 문화, 무역, 군사적 충돌은 두 나라 관계의 주요 쟁점이었으며, 관계는 매우 험악해질 수 있다.[113]
- 일본-베트남 관계: 주로 16세기부터 시작된 해상 무역을 통해 이루어졌다.[120] 일본과 베트남의 관계는 중국을 통해 8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121][122] 일본의 과거 식민 지배에 대한 불만과 정치적 차이가 남아 있을 수 있지만, 관계는 대부분 상호주의적이었다.[123][124] 그러나 일본에서 베트남 노동자에 대한 부당 대우 사례가 발생하기도 했다.[125][126]
- 중국-베트남 관계: 기원전 111년 한나라가 베트남 북부를 정복하면서 시작되었지만, 그 이전에도 중국의 영향이 있었다.[108] 중국의 지배와 영향력은 베트남에 계속 영향을 미쳤다.[108] 중국에서 비롯된 많은 문화적, 철학적 사상이 베트남으로 이전되었고, 두 나라 사이에 많은 충돌이 있었다. 현재 정치적으로 유사하지만, 관계는 종종 험악하고 불안정해질 수 있다.[109][110][111]
소중화사상은 베트남, 일본, 한국에서 나타나는 문화적 자부심의 표현으로 해석될 수 있다.
참조
[1]
논문
Reading Acquisition of Chinese as a Second/Foreign Language
https://books.google[...]
2023-12-26
[2]
뉴스
The Sinic World in Perspective
https://www.foreigna[...]
2023-05-15
[3]
서적
Yellow Perils: China Narratives in the Contemporary World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ʻi Press
[4]
서적
Inner Eurasia from the Mongol Empire to Today, 1260–2000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5]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Sound and Imagina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6]
논문
Go with Your Feelings: Hong Kong and Taiwan Popular Culture in Greater China
[7]
서적
Remapping the Sinophone: The Cultural Production of Chinese-Language Cinema in Singapore and Malaya before and during the Cold War
https://www.jstor.or[...]
Hong Kong University Press
[8]
서적
East Asia before the West: five centuries of trade and tribute
Columbia University Press
[9]
서적
The Origins of Japanese Trade Supremacy: Development and Technology in Asia
[10]
서적
Rethinking the Sinosphere: Poetics, Aesthetics, and Identity Formation
Cambria
[11]
서적
Reexamining the Sinosphere: Cultural Transmissions and Transformations in East Asia
Cambria
[12]
multiref
Confucius in East Asia: Confucianism's History in China, Korea, Japan, and Vietnam
Association for Asian Studies
[13]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1000 BCE-900 C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4]
서적
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8-04-19
[15]
서적
Indexing Authenticity: Sociolinguistic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2014-10-14
[16]
서적
Rethinking East Asian Languages, Vernaculars, and Literacies, 1000–1919
Brill
[17]
서적
Vietnamese Historical Writing
Oxford University Press
[18]
서적
The Modern World: Civilizations of Africa, Civilizations of Europe, Civilizations of the Americas, Civilizations of the Middle East and Southwest Asia, Civilizations of Asia and the Pacific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03-04
[19]
웹사이트
Huang He Valley
http://www.nationalg[...]
2022-05-04
[20]
서적
'Modernity and 'Asia' in the Study of Chinese History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1]
간행물
Achieving Quality Assurance and Moving to a World Class University in the 21st Century
https://files.eric.e[...]
2013-06-04
[22]
서적
Sinography: The Borrowing and Adaptation of the Chinese Script
https://books.google[...]
Brill
[23]
웹사이트
Sinophone and Sinosphere
http://languagelog.l[...]
2012-11-08
[24]
서적
The Rhythms of History: A Universal Theory of Civilizations
Pingree-Hill Publishing
[25]
서적
The Chinese National Character: From Nationalhood to Individuality
https://books.google[...]
M.E. Sharpe
[26]
서적
The Chinese National Character: From Nationalhood to Individuality
https://books.google[...]
M.E. Sharpe
[27]
서적
The Clash of Civilizations and the Remaking of World Order
https://books.google[...]
Simon & Schuster
[28]
서적
Peace and Prosperity in an Age of Incivilit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America
[29]
서적
A Geography of Russia and Its Neighbors
https://books.google[...]
Guilford Press
[30]
서적
The Chinese National Character: From Nationalhood to Individuality
https://books.google[...]
M.E. Sharpe
[31]
서적
People of the bomb: portraits of America's nuclear complex
https://books.google[...]
U of Minnesota Press
[32]
서적
The Emptiness of Japanese Affluenc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07-08
[33]
서적
How to Prepare for the AP World History
https://books.google[...]
Barrons Educational Series
2002-02-01
[34]
서적
Aestheticizing Public Space: Street Visual Politics in East Asian Cities
https://books.google[...]
Intellect Books
2015-06-22
[35]
서적
Food in Motion: The Migration of Foodstuffs and Cookery Techniques : Proceedings : Oxford Symposium 1983
https://books.google[...]
Oxford Symposium
[36]
서적
The Art of Fermentation: New York Times Bestseller
https://books.google[...]
Chelsea Green Publishing
2012-05-14
[37]
서적
Food security in Asia: economics and policies
https://books.google[...]
Edward Elgar Publishing
[38]
서적
Re-Orienting Cuisine : East Asian Foodways in the Twenty-First Century
Berghahn Books, Incorporated
2015-02-01
[39]
웹사이트
Tradition: Okinawa Lunar New Year Celebration
https://travelthruhi[...]
2010-01-20
[40]
서적
New Word Order: Transnational Themes in Book History
Worldview Publications
[41]
서적
Early China – A Social and Cultural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42]
웹사이트
30 Books That Changed the Course of History
https://www.business[...]
[43]
백과사전
Daoism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4
[44]
웹사이트
Buddhism
https://education.na[...]
[45]
학술지
The Three Teachings of East Asia (TTEA) Inventory: Developing and Validating a Measure of the Interrelated Ideologie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2021
[46]
웹사이트
Death and Dying in Buddhism
https://www.bristol.[...]
[47]
학술지
Equivalent Reduction in Greenhouse Gas Emissions by Mahayana Buddhists Practicing Vegetarian Diets
https://doi.org/10.1[...]
2020-02-01
[48]
서적
To cherish all life:a Buddhist case for becoming vegetarian
https://buddhism.lib[...]
The Zen Center
1986
[49]
학술지
World Religions and the Vegetarian Diet
https://digitalcommo[...]
2003-09-01
[50]
학술지
The Sinic World in Perspective
[51]
서적
Religion in global civil society
Oxford University Press
[52]
서적
Philosophy: A Very Short Introduction
[53]
서적
Essentials of Neo-Confucianism: Eight Major Philosophers of the Song and Ming Periods
Greenwood Publishing
[54]
참고문헌
[55]
웹사이트
Global Christianity
http://www.pewforum.[...]
Pew Research Center
2011-12-19
[56]
학술지
Chinese Buddhist and Christian Charities: A Comparative History
https://www.jstor.or[...]
1992
[57]
웹사이트
https://via.library.[...]
2024-08-01
[58]
학술지
The Sacred and the Secular: Protestant Christianity as Lived Experience in Modern Korea: An Introduction
https://read.dukeupr[...]
2020
[59]
학술지
A Brief History of the Catholic Church in Vietnam
https://core.ac.uk/d[...]
2012
[60]
웹사이트
A Little Faith: Christianity and the Japanese
https://www.nippon.c[...]
2019-11-22
[61]
웹사이트
How the Gospel Takes Root in 'Crazy Rich' Singapore
https://www.thegospe[...]
2018-09-24
[62]
웹사이트
STATISTICS SINGAPORE – Infographic – General Household Survey 2015
https://www.singstat[...]
[63]
학술지
Phylogenetic evidence for Sino-Tibetan origin in northern China in the Late Neolithic
2019-04-24
[64]
학술지
Dated language phylogenies shed light on the ancestry of Sino-Tibetan
[65]
학회
Current Developments in Comparative Austronesian Studies
https://digitalcolle[...]
2004-08-19
[66]
학술지
Traces of Archaic Mitochondrial Lineages Persist in Austronesian-Speaking Formosan Populations
2005
[67]
학술지
The Genetic Legacy of the Expansion of Turkic-Speaking Nomads across Eurasia
2015-04-21
[68]
서적
Archaeology and Language II: Archaeological Data and Linguistic Hypothes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69]
웹사이트
Transeurasian theory: A case of farming/language dispersal
https://www.research[...]
[70]
서적
Colonialism and language policy in Viet Nam
Mouton
1977
[71]
서적
The Korean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72]
서적
The languages of Japa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73]
서적
Hmong-Mien language history
Pacific Linguistics
2010
[74]
학술지
Silent conversation through Brushtalk (筆談): The use of Sinitic as a scripta franca in early modern East Asia
https://www.degruyte[...]
2020-02-06
[75]
백과사전
Sino-Xenic Readings
https://referencewor[...]
Brill
2023-11-10
[76]
Youtube
Korean, Vietnamese and Japanese language are so similar to Mandarin(原來韓文、越南文、日文跟中文這麼像)
https://www.youtube.[...]
2023-11-10
[77]
웹사이트
Why reading their own language gives Mongolians a headache
https://soranews24.c[...]
2019-04-27
[78]
서적
Multilingualism in China : the politics of writing reforms for minority languages, 1949–2002
2012-10-24
[79]
서적
Where cultures meet; a cross-cultural comparison of business meeting styles
https://books.google[...]
Hogeschool van Amsterdam
[80]
웹사이트
Japanese Business Structures
https://www.worldbus[...]
2019-07-31
[81]
웹사이트
Japanese Culture - Business Culture
http://culturalatlas[...]
2021-01
[82]
서적
Culture and economy: the shaping of capitalism in eastern As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13-05-26
[83]
웹사이트
Korean business culture and etiquette
https://asialinkbusi[...]
2023-05-15
[84]
웹사이트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guanxi'
https://asialinkbusi[...]
2023-05-15
[85]
웹사이트
Guanxi: What it is, History, How it Works, FAQ
https://www.investop[...]
2023-05-15
[86]
웹사이트
Vietnamese Culture - Business Culture
http://culturalatlas[...]
2023-11-09
[87]
웹사이트
Business culture in Viet Nam
https://my.nzte.govt[...]
2023-11-09
[88]
학술지
Humility in learning: A Confucian perspective *
http://www.tandfonli[...]
2016-04-02
[89]
학술지
Understanding the Culture and Behaviour of East Asians — A Confucian Perspective
http://journals.sage[...]
1990
[90]
웹사이트
Japanese Culture - Core Concepts
http://culturalatlas[...]
2023-11-09
[91]
웹사이트
Vietnamese Culture - Core Concepts
http://culturalatlas[...]
2023-11-09
[92]
서적
Economic Development in Twentieth-Century East Asia: The International Context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02-01-04
[93]
서적
Industrial Location: Principles, Practice, and Policy
https://books.google[...]
Routledge
[94]
웹사이트
What Is South Korea's Secret Weapon?
https://www.forbes.c[...]
2023-05-15
[95]
뉴스
South Korea's Chaebol
https://www.bloomber[...]
2023-05-15
[96]
웹사이트
Why South Korea risks following Japan into economic stagnation
https://www.afr.com/[...]
2019-04-27
[97]
웹사이트
Japan's Shrinking Economy
https://www.brooking[...]
2019-04-27
[98]
웹사이트
The rise and demise of Asia's four little dragons
https://www.scmp.com[...]
2019-04-27
[99]
웹사이트
YPs' Guide To: Southeast Asia—How Tiger Cubs Are Becoming Rising Tigers
https://spe.org/en/p[...]
2019-04-27
[100]
Youtube
My thoughts on Cantonese as a Viet
https://www.youtube.[...]
2023-11-10
[101]
웹사이트
The story behind Viet Nam's miracle growth
https://www.weforum.[...]
2019-04-27
[102]
웹사이트
China Is Now the World's Largest Economy. We Shouldn't Be Shocked.
https://www.belferce[...]
2020-10-15
[103]
웹사이트
China Has the World's Largest Economy: Get Over It
https://cepr.net/chi[...]
2023-05-15
[104]
학술지
A History of Japan
https://link.springe[...]
2004
[105]
문서
https://www.lehigh.e[...]
2024-08
[106]
서적
'History Wars' and Reconciliation in Japan and Korea
https://link.springe[...]
2017
[107]
학술지
Escaping the Vicious Cycle: Symbolic Politics and History Disputes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https://muse.jhu.edu[...]
2014
[108]
서적
Lost Modernities
https://www.degruyte[...]
Harvard University Press
2023-10-30
[109]
학술지
War, Rebellion, and Intervention under Hierarchy: Vietnam–China Relations, 1365 to 1841
http://journals.sage[...]
2019
[110]
학술지
Study on the Value Identity of Chinese and Vietnamese Culture of Song Genius
2020
[111]
웹사이트
The China Factor in Vietnam's Multidirectional Foreign Policy
https://thediplomat.[...]
2023-11-08
[112]
학술지
The Biography of the Hồng Bàng Clan as a Medieval Vietnamese Invented Tradition
https://online.ucpre[...]
2012-07-01
[113]
학술지
How Japan Imagines China and Sees Itself
https://www.jstor.or[...]
2005
[114]
학술지
The Loss of Vietnam: Korean Views of Vietnam in the Late Nineteenth and Early Twentieth Centuries
2014
[115]
연설
Korea and Vietnam: the Bilateral Relations
https://fsi-live.s3.[...]
2012-03-02
[116]
학술지
War on Two Fronts: The Fight against Parasites in Korea and Vietnam
2017
[117]
웹사이트
My decade watching the Korean peninsula: the delicacy of peace
https://www.lowyinst[...]
2023-11-08
[118]
웹사이트
The ups and downs of the Vietnam–North Korea relationship
https://www.lowyinst[...]
2023-11-08
[119]
뉴스
Caution needed in developing defense ties with Vietnam, North Korea's comrade
https://www.koreatim[...]
2023-11-08
[120]
서적
The Emergence of Modern Southeast Asia
University of Hawaiʻi Press
2005
[121]
서적
Jap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2005
[122]
웹사이트
Japan and Vietnam § Early Associations.
https://www.archives[...]
National Archives of Japan
2022-10-04
[123]
웹사이트
East Asian Tensions and the Lessons From Hanoi
https://thediplomat.[...]
2023-10-30
[124]
서적
Vietnam–Japan Relations: Moving beyond Economic Cooperation?
https://www.cambridg[...]
ISEAS–Yusof Ishak Institute
2023-10-30
[125]
뉴스
Vietnamese trainee worker in Japan recalls violence, struggle to switch jobs
https://mainichi.jp/[...]
2023-11-08
[126]
웹사이트
Japan is no longer an attractive destination for Vietnamese workers
https://www.eastasia[...]
2023-11-08
[127]
학술지
Korean Views of Korea-China Relations: Evolving Perceptions and Upcoming Challenges
https://muse.jhu.edu[...]
2012
[128]
학술지
Guest Editor's Introduction: Manchuria and Korea in East Asian History
https://ijkh.khistor[...]
2016
[129]
서적
Reorienting the Manchus: A Study of Sinicization, 1583-1795
https://muse.jhu.edu[...]
East Asia Program, Cornell University
2011
[130]
웹사이트
「漢字文化圏」とは
https://uwazura.up.s[...]
[131]
서적
漢字圏の近代
東京大学出版会
2005
[132]
문서
남조·대리국의 통치체제와 지배
1999
[133]
서적
The Languages of Japa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134]
서적
The Korean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135]
웹사이트
What’s so Chinese about Vietnamese?
http://sealang.net/s[...]
[136]
웹인용
한국은 보이지 않는 '동아시아 세계론'
http://news.chosun.c[...]
2019-06-10
[137]
서적
Across cultural borders: historiography in global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02
[138]
서적
Rethinking East Asian Languages, Vernaculars, and Literacies, 1000–1919
Brill
2014
[139]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Historical Writing: Volume 5: Historical Writing Since 1945
https://oxford.unive[...]
Oxford University Press
20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